-
다전공
다전공의 종류에는 부전공, 복수전공, 융합전공이 있으며, 타 학부(과)의 전공을 학습하고 일정 교과과정을 충족하면 해당 이수내역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시기는 매년 1월, 7월 중이며, 신청 자격은 2학년 1학기 이상인 재학생입니다.(2학년 승급예정자 지원 가능)
부전공
- 개요 : 학생이 본인 전공 이외의 타 학부(과) 전공 교과목 중 일정학점 또는 일정 단계의 교과목을 수강하여, 부전공 교육과정 21학점을 체계적으로 이수한 자에게 부전공을 인정합니다.
- 부전공을 이수한 자에게는 학위증서에 부전공을 표시하고, 학적부에 기재합니다.
복수전공
- 개요 : 소속 학부(과) 및 타 학부(과)의 일정 교과과정을 이수한 자에게 두 개의 학위를 수여하는 제도입니다.
- 복수전공을 이수한 자에게는 학위를 동시에 수여합니다.
융합전공
- 개요 : 융합전공이란 2개 이상의 학부(과) 또는 전공이 융합하여 새로운 교과과정을 수립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회 및 산업환경 변화에 따라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융·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전공 과정입니다.
- 전공선택 이수방법
- 연계형 융합전공은 다전공(제2전공)과정으로 이수가 가능하고, 표준형 융합전공은 단일전공과 다전공 과정으로 이수가 가능하며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단일전공 이수 : 융합전공의 참여학과 소속 학생 및 아너칼리지(전공자유대학) 자율전공학부(인문,자연) 소속 학생
2. 다전공 이수
가. 제1전공(주전공): 융합전공의 참여학과 소속 학생 및 아너칼리지(전공자유대학) 자율전공학 부(인문,자연) 소속 학생
나. 제2전공 또는 부전공: 모든 학부(과) 소속 학생
- 참여학과 이외 소속의 학생은 참여학과로 소속을 변경한 후, 단일전공 또는 제1전공(주전공)으로 이수할 수 있습니다.
- 융합전공의 특성에 따라 일부 전공형태만 운영할 수 있습니다.
- 전공선택제에 따라 융합전공을 단일전공 또는 제1전공(주전공)으로 이수하고자 하는 자는 8학기(건축대학은 10학기) 진급 시 신청하여 원소속 단과대학장의 승인을 얻어야 합니다.
- 융합전공을 제2전공 이수한 자에게는 학위를 동시에 수여하며, 부전공으로 이수한 자에게는 학위증서에 표시합니다.
- 장학제도 : 융합전공 신청을 필하고 융합전공 교과목을 이수하는 학생 중 일정자격 요건 충족자에 한하여 소정의 장학금(융합인재육성장학금) 지급합니다.
- 개요 : 모듈형 교육과정은 미래사회에 경쟁력 있는 실용·융합인재 양성을 위해 사회수요를 반영하여 설치·운영하는 모듈 단위의 단기 교육과정을 말합니다.
- 모듈형 교육과정의 유형별 이수요건을 충족한 자에 대하여 별도의 이수증을 발급하며, 졸업증명서 및 성적증명서에 해당 이수 과정명을 표기합니다.
- 신청방법 : 학생이 해당 교육과정의 교과목을 수강신청하는 것으로 신청을 갈음합니다.
- 마이크로디그리 유형
- 전공마이크로디그리
- 연계·융합마이크로디그리
- 직무중심마이크로디그리
- 교양마이크로디그리
[기타] 모듈형 교육과정(MD)
fnctId=satisfaction,fnctNo=0
전공자율선택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