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versity of Iowa 정치학과 박사 (2004-2009)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석사 (2002-2003)
University of Tsukuba, 헤이와 나카지마 재단 펠로우 (2002-2003)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 (1994-1999)
주요 경력 및 활동
2024.12.~ 서울특별시 명예시장
2023.03. 국민통합위원회 청년정치시대 특별위원회 위원장
2022.07.~2024.08. 대통령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위원
2024.06.~ 법무부 외국인 장기보호심의위원회 위원
2017.07.~ 경제정의실천연합 정치개혁위원회 위원
2023.03.~ TV 조선 공정선거방송 특별위원회 위원
2024.04.~ 재외동포청 자체평가위원
2023.01.~2023.12.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2022.04.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국민통합위원회 자문위원
2023.01.~ 2023. 12. 한국정당학회 감사
2025.02.~ 언론중재위원회 선거기사심의위원
2023.02.~ 한국의회발전연구회 이사
2020.01.~2020.12. 한국정당학회 대외협력이사
2017.01.~2017.12. 한국정치학회 연구이사
2015 한국정치학회 World Congress 조직위원회 등록위원장
2017 서울시 선거구 획정위원회 위원
2021.12.~2022.02. KBS 공약검증 자문단
2016.02. 양천구선거관리위원회 선거방송토론위원회 위원
2019.01.~2019.12. 대만 외교부 Fellow
2019.03.~2020.02. 대만 국립정치대학교 방문교수
2022.06. 국민의힘 혁신위원회 위원
2022.10. 국민통합위원회 팬덤과 민주주의 특별위원회 간사위원
2017.12.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정책연구기획 평가위원
2024.03.~ 한국일보 칼럼니스트
2022~ 경제사회연구원 거버넌스센터 위원
2024.06. 국민의힘 당헌당규개정특별위원회 위원
차별의 나라에서 행복한 사람들. 2025. 위즈덤하우스(forthcoming).
정당 없는 민주주의는 없다. 2024. 21세기북스(공저).
한 번은 불러보았다: 짱깨부터 똥남아까지, 근현대 한국인의 인종차별과 멸칭의 역사. 2022. 위즈덤하우스.
아시아인이라는 이유. 2022. 후마니타스.
Democracy and Social Change in South Korea. 2020. 푸른길(공저).
지역 다양성과 사회통합 4 세계 각국의 시민-정당 연계 동향과 쟁점. 2018. 서울: 푸른길(편집자).
정치현장에서 진단에서 한국정당과 민주주의. 2017. 푸른길(공저).
국민의 참여가 민주주의를 살린다. 2017. 서울: 푸른길(공저).
지역 다양성과 사회통합 3 세계 각국의 시민-정당 연계 동향과 쟁점. 2016. 서울: 푸른길(공저).
지역 다양성과 사회통합 2 세계 각국의 시민-정당 연계 동향과 쟁점. 2016. 서울: 푸른길(공저).
정당이 살아야 민주주의가 산다. 2015. 서울: 푸른길(공저).
지역 다양성과 사회통합 1 세계 각국의 시민-정당 연계 동향과 쟁점. 2014. 서울: 푸른길(공저).
이슈를 통해 본 미국정치. 2014.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공저).
도전과 변화의 한미정치. 2014.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공저).
어게인 오바마. 2013. 서울: 오름(공저).
미국 선거와 또 다른 변화. 2011. 서울: 오름(공저).
논문 (대표업적만 요약):
국문
“한국사회의 갈등 양상과 사회통합을 위한 정당의 역할: 표적집단면접(FGI)을 통한 분석”미래정치연구 7 (2017), pp.115-140.
“재한조선족의 민주주의에 대한 태도 결정 요인: 한국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동서연구 29 (2017), pp. 93-118.
“재한조선족의 사회신뢰: 이주국과 본국에 대한 신뢰를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연구 10 (2017), pp. 219-249.
“한국 유권자의 이념과 복지아젠다” 21세기 정치학회보 27 (2017), pp. 81-110.
“소수자들의 정체성과 정당에 대한 태도” 미국학논집 49 (2017), pp. 147-175.
“20대 총선 인천 남동(갑) 분석: 공약 및 북한이탈주민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연구 33 (2017), pp. 45-69.
“국회의원 공약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요인 분석” 미래정치연구 7 (2017), pp. 109-134.
“계층과 탈북자에 대한 태도: 객관적 계층위치와 주관적 계층인식의 격차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5 (2016), pp. 167-198.
“성소수자 이슈를 둘러싼 우리나라 정당과 이익집단의 상호수용 연구” 사회과학논총 (2016).
“20대 총선 매니페스토 운동 실태 분석: 후보자 간 정책 차별성과 유권자 인식” 한국정치연구 25 (2016), pp. 167-195.
“19대 국회의 다문화가족 관련 법안 분석” 한국정당학회보 15 (2016), pp. 61-91.
“한국 국회의원의 대표 유형과 의정 활동” 21세기정치학회보 26 (2016), pp. 25-50.
“미국인들의 동성애자와 동성결혼 이슈에 대한 태도 연구” 동서연구 28 (2016), pp. 123-150.
“국회의원의 의정활동에 있어 개인적 수준 변수들의 영향력 분석” 정치·정보연구 19 (2016), pp. 243-274.
“한국 무당파의 특성과 투표행태 분석: 제18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17 (2016), pp. 83-109.
“프랑스인들의 극우정당 지지와 무슬림에 대한 태도” 21세기정치학회보 25 (2015), pp. 203-248.
“미국인들의 정당일체감과 이슬람에 대한 태도,” 국제정치연구 18 (2015), pp. 147-168.
“한국 유권자의 정치신뢰와 정당일체감” 한국정당학회보 14 (2015), pp. 83-113.
“현직의원의 득표율 증감 분석: 제19대 총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6 (2015), pp. 23-47.
“한국화교집단에 대한 분석: 정체성과 사회경제적 배경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3 (2015), pp. 218-245.
“한국 유권자의 정치신뢰를 결정하는 요인” 21세기정치학회보 24 (2014), pp. 415-430.
“한국인의 정당지지와 이민에 대한 태도” 한국사회 15 (2014), pp. 159-190.
“여성정치지도자의 등장 요인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사회과학연구 40 (2014), pp. 55-75.
“한국 정당의 유권자 연계 수준과 정당정치 만족도” 한국정당학회보 13 (2014), pp. 31-62.
“영국인의 유럽의회에 대한 인식: 신뢰도 조사를 중심으로” 국제정치연구 17 (2014), pp. 137-152.
“국민정체성의 정치적 영향력에 관한 연구: 미국인들의 이슈에 대한 태도와 투표참여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2 (2013), pp. 77-99.
“육성가설: 우호적인 거주환경이 아시아계 미국인의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논집 (2013), pp. 77-94.
“정당공천제와 지방정치개혁” 한국정당학회보 12 (2013), pp. 99-125.
“의원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국회 생산성과의 관계: 18대 국회를 대상으로” 한국정치연구 22 (2013), pp. 49-74.
“한국정당연구의 실증적 방법론 탐색” 미래정치연구 3 (2013), pp. 10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