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신기술·(첨단)산업 분야 모듈형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공모 사업 공고

  • 작성일2023.12.08
  • 수정일2023.12.08
  • 작성자 이*성
  • 조회수957

2023학년도 신기술·(첨단)산업 분야 모듈형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공모 사업 공고문


명지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교육개발센터에서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2023학년도 신기술·(첨단)산업 분야 모듈형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공모전을

다음과 같이 시행하오니 교원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추진목적


신기술·(첨단)산업 분야에서 요구하는 인재 양성을 위한 비교과 교육과정 발굴

범용성 높은 조합 가능한 모듈형 비교과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다양한 형태의 모듈형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활용

 

 

공모개요


(공모주제) 신기술·(첨단)산업 분야 모듈형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공모자격) 명지대학교 *소속 교원이면 누구나 개인 또는 팀 공모 가능

(선발인원()) 5()

(연구비 규모) 연구개발비 : 과정별 최대 1,000,000


구분

지급기준

지급액

비고

교육프로그램 교재

(매뉴얼) 개발비

A4 규격 1

(80, 20)

30,000원 이내/

연구과제 심의위원회의 평가심의 결과에 따라 기준 금액의 20%이내 감액 가능

* 붙임1.대학혁신지원사업 사업비 집행 세부지침의 원고료 지급 기준 참고


 

(공모내용)

 가. 신기술·(첨단)산업 분야 중 해당 학과 또는 학문 분야와 연계 가능한 주제를 선정

   (예시 1) Python, C언어, JAVA 등 신기술 분야 활용

   (예시 2) 신기술 분야 특허 관련 법령 이해 및 해석

   (예시 3) 신기술과 인문학의 융합 사례 및 적용 등

[신기술·(첨단)산업분야 예시]

: 2021·2023년 혁신융합대학 연합체 분야(교육부 자료)

- A : 항공·우주, 미래모빌리티 : 항공·드론, 지능형 로봇, 미래 자동차

- B : 바이오헬스

- C : 첨단부품·소재 (반도체소··, 이차전지, 차세대반도체)

- D : 디지털(차세대통신, 인공지능, 실감미디어, 빅데이터)

- E : 환경·에너지(에코업, 에너지신산업)


 나. 특정한 신기술·(첨단)산업 분야에서 필요한 모듈형 비교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설정하고, 필요 역량, 운영 내용 등을 구체적으로 제안함

 다. 제안 내용과 관련성 높은 내부 교·강사를 확보하여 실제 개설 및 운영 가능성이 높아야 함


(공모유형) 주제에 적합한 유형을 선택하여 제안


공통조건

 - 1개 분야별 3개 이상의 하위역량을 두고 마이크로모듈과 나노모듈을 설계

 - 기초-적용-심화 단계로 구분하여 구성하되 다양한 모듈형 교육과정에 적용 가능성이 높게 개발

 - 나노 모듈별 운영 계획서 제시


모듈 유형 구분

 ① 마이크로 모듈 : (예시) A,B,C 참고

    - 특정 신기술·(첨단)산업 분야의 하위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역량 모듈형 교육과정으로 12시간 이상~15시간 이하로 구성

 ② 나노 모듈 : (예시) a,b,c 참고

    - 4시간 이상~5시간 이하의 작은 단위로 쪼개진 개별 단위의 교육과정으로 구성


 [개발 예시]


(제출형태 및 분량)

  - 제출형태 : 한글(.Hwp) 파일

  - 제출분량 :*30,000/, 최대 1,000,000

(신청서 제출)

  - 제출서류: #1. 사업[공모] 참가 신청서, #1-붙임1. 사업[공모]신청 내역서

               #1-붙임2.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서 각 1 

  - 제출기한: 2023.12.14.() 13:00까지

  - 제출방법이메일 제출(hrdhjs@mju.ac.kr)

 


 

심의 절차 및 기준


(심의·평가 절차 및 방법) 교육개발센터 운영위원회 위원으로 평가위원단을 구성하여 제출서류를 평가표에 의해 서면 심사하고 심사위원 점수를 합산·평균하여 개인(팀별) 점수로 산정

(심사일) 2024.01.29.()~2024.01.31.()

(평가기준) 평가위원회 평가 결과 80점 미만 시 기준금액의 20% 이내로 감액 가능

 


 

개발비 지급 기준 : 자세한 사항은 붙임1. 참고


원고 1매당 지급액 : A4 규격(80, 20)이며, 30,000원 이내에서 위원회에서 최종 결정

기타 그림, 표 등이 들어간 원고료 1매 인정 기준()


원고 이외의 기타 그림, 표 등은 1매당 원고 인정 기준의 50%까지 인정함을 원칙으로 하며, 인정 범위는 해당 위원회의 최종심의를 통해 정한다.

() 그림 또는 표가 A4 규격(80, 20) 1매인 경우 : 1매당 원고료의 50% 적용(원칙)


 


 

향후 일정 및 계획


연번

구분

일정()

제출내용

1

결과물 제출

2024.01.28.()

[붙임2. 참고]

- 최종결과 개요 보고서

- 연구윤리 확인서

- 연구 결과보고서 등

2

연구비 심사

2024.01.29.()~2024.01.31.()


3

최종 결과 발표

2024.02.02.()

- 홈페이지 공지


 문의사항교육개발센터 한정수(hrdhjs@mju.ac.kr, 031-330-6226)

 

[붙임] 1. 대학혁신지원사업 원고 규격 등에 관한 세부 기준 1

       2. 정책연구 공모용 구비서류 서식 일체 각 1. .



 

2023. 12.


명지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교육개발센터장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