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1학기 제약바이오 융합전공 모집 및 신청 안내

  • 작성일2024.12.27
  • 수정일2024.12.27
  • 작성자 김*연
  • 조회수231

2025학년도 1학기 제약바이오 융합전공 모집 및 신청 안내

 

우리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제약바이오융합 특성화사업단에서는 제약바이오 융합전공 참여학생을 모집하오니, 관심 있는 재학생들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세부 사항은 명지대학교 학교 홈페이지 학사 공지를 참조 바랍니다.

- 2025학년도 1학기 다전공(,복수,융합전공) 신청원서 및 포기원서 제출 안내

(https://shorturl.at/xtDhU)

 

다 음

 

1. 제약바이오 융합전공 (제약바이오융합 특성화사업단)

- 식품영양학과, 화학과, 생명과학정보학(), 화학공학과가 참여한 융합전공

 

2. 2025학년도 1학기 제약바이오 융합전공 신청

. 신청대상 : 명지대학교 재학생 중 융합전공 이수 희망자

. 접수기간 : 2025.01.02.() ~ 2025.01.08.() (주말, 공휴일 제외)

. 접 수 처 : 자연과학대학 교학팀 (자연캠퍼스 차세대과학관 Y23203)

 

3. 융합 전공 이수 조건

. 2024학번 이전 입학생

공통

교양

핵심

교양

학문

기초

교양

융합

학문

기초

교양

일반

교양

단일

전공

다전공

부전공

자유

선택

합계

비고

원소속

전공

1전공

2전공

소속학부()

지정 학점

-

자율

-

36

-

36

21

자율

소속학부

()별 최소졸업학점

식품영양, 화학,

생명과학정보,

화학공학


이수유형

융합학문기초교양

전공필수

전공선택

최소전공학점

(융합전공)

기타사항(필수과목)

2전공

 

0

36

최소 36학점

 

부전공

 

0

21

최소 21학점

 


 

. 2024학번 이후 입학생

공통

교양

핵심

교양

학문

기초

교양

융합

학문

기초

교양

일반

교양

단일

전공

다전공

부전공

자유

선택

합계

비고

원소속

전공

1전공

2전공

소속학부()

지정 학점

6

자율

63

36

36

36

21

자율

소속학부

()별 최소졸업학점

식품영양,

화학,

생명과학정보,

화학공학


이수유형

융합학문기초교양

전공필수

전공선택

최소전공학점

(융합전공)

기타사항(필수과목)

단일전공

6

11

52

최소 63학점

약물전달학, 바이오의약품학, 생물공정공학 이수

1전공

8

28

최소 36학점

약물전달학, 바이오의약품학 이수

2전공

4

32

최소 36학점

바이오의약품학

부전공

 

4

17

최소 21학점

바이오의약품학


전공 구분 * 단일전공, 1전공은 2025학년도 신입생부터 신청 가능

  1. 단일전공: 융합전공을 단일전공으로 이수하는 학생의 최소이수학점. 학위증서에 융합전공학위 표시

  2. 1전공: 융합전공을 제1전공으로 이수하는 학생의 최소이수학점. 학위증서에 융합전공학위를 주전공으로 기재

  3. 2전공: 융합전공을 제2전공으로 이수하는 학생의 최소이수학점. 학위증서에 소속전공학위를 주전공으로 기재하고 융합전공학위를 제2전공으로 기재

  4. 부전공: 소속학부()의 전공최소이수학점을 이수하고 융합전공을 부전공으로 이수하는 학생의 최소이수학점. 학위증서에 부전공을 기재

 

4. 학점 이수 관련 필독 사항

. 융합전공을 제1전공(주전공) 또는 제2전공으로 이수하는 경우

  1) 원소속 학과에서 이수한 전공 교과목과 융합전공 교과목이 일치할 경우 융합전공의 해당 과목을 전공학점으로 이수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으며 

    인정 범위는 최대 21학점까지로 한다.

  2) 융합전공 이수자는 융합전공 이수학점(36학점) 중 본인 소속 학과 이외의 타 학과에서 개설하는 융합전공 교과목을 15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한다.

     예) 화학과(원소속 전공) 학생이 융합전공 이수 시 타 학과 개설 융합전공(식품영양, 생명과학정보, 화학공학) 교과목을 15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함.

  3) 융합전공을 제1전공(주전공) 또는 제2전공으로 이수하는 자는 원소속 이수학점과 융합전공 이수학점의 합이 단일전공 시 원소속의 최소 전공 졸업이수학점 

     이상이 되도록 이수하여야 한다(아래 표 참고)

  4) 1전공(주전공)의 학문기초교양과 융합전공의 학문기초교양의 영역과 과목명이 일치할 경우 제1전공(주전공)의 학문기초교양 과목만 이수해도 

     융합전공 학문기초교양의 해당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대학

학부()

최소 졸업학점

실제 전공 이수 학점

잔여 이수 전공학점

* 원소속전공/

융합 전공 무관

[A-(B+D)]

교양

전공

(A)

자유

선택

최소

졸업

학점

원소속

전공

이수학점

(36)

(B)

전공

인정

학점

(0~21)

(C)

융합전공

이수

학점

(36~15)

(D)

최소 전공 졸업 이수

인정 학점

(B+D)

자연

과학

(참여) 식품영양

(참여) 생명과학정보

(참여) 화학

55

63

10

128

36

21

15

51

12

36

9

27

63

0

수학, 물리

36

0

36

72

0

공과

(참여) 화학공학

59

70

5

134

36

16

20

56

14

화학공학 제외

36

0

36

72

0


* 위의 표는 예시이므로 본인 학과 및 본인 학번의 최소 졸업학점에 맞게 반영하여야 함.

 

. 융합전공을 부전공으로 이수하는 경우

  1) 융합전공을 부전공으로 이수하는 경우 원소속 학점과 융합전공 학점은 중복인정하지 아니한다.

 

. 편입생이 융합전공을 이수하는 경우

  1) 편입자가 융합전공을 이수하고자 할 경우에는 소속 전공 최소이수학점을 이수하고 융합전공의 전공학점 및 학문기초교양을 이수하여야 한다.

  2) 편입자의 경우 편입 당시 인정받은 학점은 졸업학점에만 가산될 뿐 융합전공 이수학점으로는 인정하지 않는다.

 

 

5. 학위명 수여

- 2전공 : 소속전공학위를 주전공으로 기재하고 융합전공학위를 제2전공으로 기재

(학위명(영문명) : 제약바이오 학사(Pharmaceutical&Bio) 표기

 

6. 관련 문의

. 전화 상담

  1) 자연과학대학 교학팀 : 031)-330-6151

  2) 제약바이오융합 특성화사업단 : 031)-324-1248

. 오픈채팅방 : https://open.kakao.com/o/sNowQmfg


 

 

 

 

 

 

 

2024.12

제약바이오융합 특성화사업단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