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특강>
21세기 대학 생활에서는 학문 담론 수행을 위한 비판적 사고력뿐만 아니라, 인간과 자연환경의 조화로운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인문학적 사고, 그리고 자아와 타인의 공감 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감성의 계발 등이 중요시되므로, 인문학 특강을 통해 예비대학생이 앞으로의 대학 생활에 필요한 제반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 <인문학 특강 I> 담당교수 육민수(방목기초교육대학)
-수강일시: 2022.01.17(월)/18(화)/19(수)/20(목)/21(금) 11:00~12:00
▷ 교과개요: 한국고전문학에 나타난 다양한 특성 중 예비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특성을 네 가지 주제로 나누어 살펴본다. 한국고전문학에 나타난 사랑을 주제로 한 작품의 감상을 통해 감성 계발 및 타인의 정서에 대한 공감 능력을 신장하며, 자연친화적 주제를 다룬 작품을 고찰함으로써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한다. 또 대사회적 비판적 목소리를 지닌 작품을 살펴봄으로써 지식인의 사회적 책무에 대해 알아보고, 교훈과 이념을 담은 작품을 통해 올바른 가치관 형성의 자세를 찾아보도록 한다.
▷ 강의내용:
일 정 |
강 의 내 용 |
비 고 |
1강 |
문학과 한국문학-고전을 중심으로 |
문학의 역할, 한국고전문학의 특성 |
2강 |
사랑, 이별, 그리고 청춘 |
춘향가, 송인, 이세보의 시조 등 |
3강 |
아름다운 자연과의 공존 |
관동별곡, 오우가 등 |
4강 |
비판적 지성인의 쓴소리 |
애절양, 호민론 등 |
5강 |
삶의 방향에 대한 성찰 |
계녀가, 오륜가 등 |
2) <인문학 특강 II: 글로벌 시대의 문화감수성> 담당교수 조수미(방목기초교육대학)
-수강일시: 2022.01.18.(화)/19(수)/20(목) 16:00~18:00
▷ 교과목개요:
21세기는 인간, 자본, 정보, 문화의 흐름이 유래없는 속도와 규모로 국경을 넘나드는 글로벌리제이션(세계화)로 정의되는 시대이다. 원하든 원하지 않든 다양한 문화적 배경이나 삶의 방식을 가진 사람들과 어깨를 마주하고 지내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방에서 한 발자국도 움직이지 않고도 세계의 정보를 보고 들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우리의 삶도 마찬가지로 세계에 전달된다. 한편 세계화의 한 결과물로 인류에게 들이닥친 코로나 팬데믹의 위기는 사람들간의 자유로운 교류를 일시적으로 마비시키는 동시에 인간집단의 원초적인 편견과 혐오를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
다름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이질적인 문화의 만남은, 필연적인 마찰과 갈등을 가져온다. 세계화와 다문화주의의 현실 속에서 타문화와 자문화의 차이, 타인과 자신의 차이를 조화롭고 생산적인 방식으로 수용하는 문화번역 능력이 사회구성원 각자에게 요구되는 시기이다. 이 강의에서는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몇 가지 키워드를 소개함으로써, 글로벌 시대를 살아가는 세계시민으로서 문화감수성을 배양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강의내용:
일 정 |
강 의 내 용 |
비 고 |
1강 |
문화 읽기의 중요성 |
|
2강 |
자문화중심주의와 문화상대주의 |
|
3강 |
고정관념 |
|
4강 |
네트워크 사회와 문화전쟁 |
|
5강 |
문화전유 |
|
6강 |
정체성과 민족, 국가 |
|